안녕하세요 초등수학게임 페이버앱스입니다!
https://youtube.com/shorts/lVJhTHMmZF0?feature=share
오늘은 '자폐스펙트럼' 증상과 치료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도 잘못하고
상호작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자폐증은 아닐까? 의심을 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과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며
자신만의 세계관 안에
갇혀 사는 것을 흔히들 '자폐증'을 겪고 있다.
라고 합니다.
2013년 미국의 정신의학회에서
세분화되던 자폐성 장애와 소아기 붕괴성 장애,
아스퍼거증후,비전형자페 등을 모두
포함시켜서 "자폐스펙트럼"이라는,
장애로 통합이 되었습니다.
보통 3살 이전에 나타날 수 있는 질병으로써,
사회적인 기능과 행동 제약, 의사소통 장애 등
주요 세 가지의 발달하는 영역에서
장애가 나타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발달성 장애'이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장애,
사회적상호작용의 질적인 장애
언어, 상동적 행동과 범위의 제한 등이
주 증상 등으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보통 3살 이전부터 발생하며, 백 명 중에
거의 두세 명 정도로 발생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원인은 뇌 영역 간의, 소통 즉 '커뮤니케이션'
부재로 인해서, 발생을 하게 되며
특히나 우뇌의 기능들이 많이
떨어지게 되면서, 자폐 증상을 갖게 됩니다.
또한 면역과 영양문제도 관련이 있습니다
뇌가 불균형적으로 발달을 하게 된다면,
신체 내의 조절 및 신체기능들이 같이
불균형적으로 발달을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뇌가 관장하는, 면역기능으로써,
한쪽 뇌의 기능만 발달하게 된다면
뇌의 부조화를 일으켜서 뇌세포 내의
염증을 가속화 시켜서 뇌의 발달을 저하시킵니다.
그럼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은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거의 눈 맞춤을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불안하게 가끔씩 눈을 마주치며 부모가
재미있는 행동을 해도,
웃지 않고 부적절한 반응을 보입니다.
그리고 상대방을 뻔히 쳐다보게
되는 부자연스러운 행동을 보이며,
'합동주시'에서도 문제를
보입니다. 합동주시는 상대방의 관심들을
유도시키거나, 다른 타인을
가리키기 시선 등에서 반응을
하여 상대방과 관심을 공유하는
행위들로 이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중 네 살에서 다섯 살까지 합동주시에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말의 높낮이가 단조로워 보이거나,
말과 억양 말의 크기와 리듬 등이
독특합니다. 본인의 관심 있어 하는
'관심사'에서만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며, 상대의 반응조차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래에 대해서 관심이 거의 없고,
집단 참여하는 놀이나
상상 놀이 등 관계 형성에 관련된 능력에
결핍 증상을 보이며, 반복적이며
상대적 행동들도 이병의 장애 증상입니다.
또한 빙글빙글 돌게 되거나, 위아래로 뛰는등
운동의 반복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언어적으로는 특정 단어를 반복 사용하며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따라 합니다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완치하기는 힘들지만,
약물 치료를 통해서 이 증상을 느끼게 되는
불안감과 주의결핍력 강박증,
자해 공격적 행동에 대해서
증상 '조절'은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행동치료 언어치료
특수교육 등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정말 심하면 금방 알아차리지만,
아이들의 발달 정도 증상은 모두 달라서
확실하게 파악을 못하고
그냥 지나칠 수 있습니다.
혹시 주변 이웃이나
우리 아이에게 이런 증상들이 보인다면
꼭 '병원' 내원을 통해서 자세한 설명
및 치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수선충당금 (0) | 2021.09.08 |
---|---|
코로나 4단계 기준 (0) | 2021.09.07 |
넷플릭스 해지방법 (0) | 2021.08.23 |
오마주 대해서 (0) | 2021.08.23 |
지네에 물렸을때 증상및 처치방법 (0) | 2021.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