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콘은 주로 무선으로 작동하는 소형
전자기기로, 대부분 인프라레드(IR) 기술을
사용합니다. 리모컨의 작동 원리는
간단합니다.
리모컨은 원격에서 작동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면 전자 신호가 발생하며,
이 신호는 리모컨 내부의 송신기에서
생성됩니다. 이 신호는 수신기가 있는
TV, 에어컨 등의 기기에서 감지되고
해당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로
인식됩니다.
리모컨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가
해당 신호를 인식하고, 이 신호를 이용해
송신기에게 신호를 보냅니다. 이 신호는
다시 인프라레드(IR) LED를 통해 기기에
전달됩니다. 이때, 인프라레드(IR)는
인간 눈으로 볼 수 없는 전자기파를
사용합니다.
인프라레드(IR) LED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형태로 구성되며, 송신기가 전자 신호를
생성하면 해당 LED를 켜서 인프라레드(IR)
전자기파를 방출합니다. 이 전자기파는
기기의 수신기에서 인식되고, 이를
해석하여 해당 기기를 작동시키는
명령어로 변환됩니다.
리모컨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작동하며, 이 주파수 대역은
대부분 38KHz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 주파수는 인프라레드(IR) 전자기파를
수신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리모컨의 작동 원리는 버튼을
누르면 송신기에서 전자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인프라레드(IR) LED를 통해 기기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기기는 수신기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인식하고, 해당
명령어를 따라 동작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모컨은 편리하게 다양한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S4Bmg7WWZ4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고기보다 소고기가 비싼 이유 (0) | 2023.03.04 |
---|---|
겨울잠이 아닌 여름잠을 자는 동물 (0) | 2023.03.04 |
국민연금 조기수령자가 많아진 이유 (0) | 2023.03.04 |
많은 사람들이 운세나 혈액형에 따른 성격이 맞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뭘까요? (0) | 2023.03.03 |
눈의 피로를 줄일수 있는 방법 (0) | 2023.03.03 |